리눅스에서 로그 초기화 및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
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로그 파일을 초기화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. 또한,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고 정렬하는 방법도 서버 운영에서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cp /dev/null
을 이용한 로그 초기화와 du | sort
를 활용한 디스크 사용량 정렬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1. 로그 파일 초기화 (cp /dev/null ssl_request_log
)
로그 파일이 계속 쌓이면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/dev/null
을 이용한 초기화입니다.
설명:
-
/dev/null
→ 아무 내용도 없는 가상의 장치(데이터를 버리는 역할) -
cp /dev/null ssl_request_log
→ssl_request_log
파일을 빈 파일로 만듦 (기존 내용 삭제)
이 방법은 로그 파일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, 파일 자체는 유지하면서 내용을 비우는 효과가 있습니다.
2. 디스크 사용량 확인 및 정렬 (du -k | sort -n
)
디렉토리별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고 크기 기준으로 정렬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설명:
-
du -k
→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폴더 크기를 KB 단위로 출력 -
sort -n
→ 숫자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
예제 출력:
이렇게 하면 작은 파일부터 큰 파일 순으로 정렬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마무리
-
cp /dev/null 파일명
→ 파일 내용을 비우되 파일 자체는 유지 -
du -k | sort -n
→ 폴더 및 파일 크기를 정렬하여 디스크 사용량 분석
이 두 가지 명령어는 서버 유지 관리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필요할 때 활용해 보세요! 🚀
댓글 (0)
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하세요.